간만에 컴 자판기에 앉아서 티브를 보면서 ... 물론 옆에는 작은 병맥주 한병 ㅎㅎㅎ
예전에 처음 명리공부할때 원국의 해석을 얼렁뚱탕하다가 이제 대운이란 녀석을 공부해야지
생각하고 녀석과 째려보기를 했는데 100전 백패 .
백패하고 난후에 한가지 얻은 것이 넓게 보자 넓게~ 넓게~.
10년단위가 아닌 대운의 계절별 혹은 방위별로 원국의 간지적 오행요소와 비교해서 그리고
조후요소와 남여의 차이를 기준으로 ...
나중에 십이신살을 알고 난후에는 십이신살의 대운 적용법 중 주기를 이용해서...
그래서 오늘은 다들 아시겠지만 , 십이신살을 이용한 대운해석의 가장 기초적인 방법을
이야기 해보겠습니다.
乾 ○ ○ ○ ○ ▼ ▼
○ ○ 酉 寅 大運 辰 卯 寅 丑 子 亥 戌
月 年 地 天 災 劫 華
위 건명의 대운해석에 있어 십이신살의 큰틀해석은
술대운에서 해대운으로 넘어갈 때 즉 화개살 대운에서 겁살대운으로 넘어갈때
그리고 인대운에서 묘대운으로 넘어갈때 즉 지살대운에서 년살대운으로 넘어갈때
명주의 삶에 큰 변화가 일어납니다.
坤 ○ ○ ○ ○ ▼ ▼
○ ○ 午 巳 대운 寅 丑 자 해 戌 酉 신 미
이 경우도 마찬가지로 酉 장성살대운에서 戌 반안살대운 넘어갈때
그리고 丑 화개살대운에서 寅 겁살대운으로 넘어갈 때
명주의 삶에 큰 변화가 일어납니다.
-------------------
역시 의학드라마 재미있습니다. 골든 타임 ...ㅎㅎㅎ
다시 돌아가서
대운의 십이신살적 해석에 있어 위의 방법이 기본이 됩니다.
주변 잘아는 사람이나 본인사주로 등으로 위의 패턴 연습이 필요하겠습니다.
한번씩은 원국무시 대운의 천간무시 무시로~~ 무시로~~
명주의 띠와 태어난 月만 가지고 위와 같은 패턴을 활용해서
과감하게(?) 찍어 보는 것도 명리의 감을 살리는 데 쪼금은 도움이 되리라 생각듭니다.
" 이 대운 넘어갈 때 삶이 확 바끼었제~~~ "
위의 패턴이 눈에 익어가면 좀 더 확장해 나갈수 있겠네요.
大運 辰 卯 寅 丑 子 亥
月 年 地 天 災 劫
위와 같은 경우 명주의 "초년기"에 겁살대운이 왔습니다.
그리고 "중년기"에 지살대운에서 년살대운으로 바뀌네요.
감이 좋으신 분들은 " " 를 보고 음~~ 하시겠네요.
명주의 초년기에 부분에 사주체를 이끌어 나가는 것이 본인 일까요. 부모 일까요.
명주의 중년기 부분에서 삶의 패턴이 바뀐다면 어떤 일들에 의해서 일까요.
위와 같은 부분은 십이신살의 대운해석의 확장부분에 해당하겠습니다.
단 주의하실 것은 일단 육친론의 습관에서 벗어나야 합니다.
比 다 官이다 食이다 이런 것 부터 보이시면 십이신살의 활용이 점점 묘연해집니다.
그리고 십이신살은 절대로 길흉을 논하는 것이 아니라는 것을 명심해야합니다.
또한 사건에 관한 것은 확장부분에 의한 부차적인 것이고 실제로는 십이신살은
진행과정을 설명한 것이고 그리고 그 과정상의 상황을 이야기하는 것입니다.
-------------------------------
십이신살의 대운해석의 묘미를 한번 맛보고 싶으신 분은
잘아는 분 명조를 일단 10분 정도 파악하여
삶의 패턴이 바뀌는 대운의 3개의 부분에 어떤 변화의 요소가 있었는지
파악해 보는 것이 살아 있는 명리 공부가 되겠습니다.
이런 분석후 토론을 하면 더욱더 멋진 토론방이 되겠네요.
오~ 지금 체조 양학선선수 도마경기가 하네요 ...휘리릭
---------------------------------------
12.8.7
오늘도 혼자서 중얼중얼 ...
어제 : 십이신살을 이용한 대운 해석법에 있어 기초부분
겁 재 천 지 년 월 망 장 반 역 육 화 ( 殺 )
▼
겁 재 천 지 : A 단계
년 월 망 장 : B 단계
반 역 육 화 : C 단계
단계의 변화점에서 큰 변화가 일어남.
어제 요약 끝.
예전에 참이슬이 박일우선생님의 십이신살책을 우연한 기회에 얻게 되어서
처음 한번 숙독했는 데 마치 퍼즐책 푸는 느낌이었습니다.
설명도 없고 위의 부분은 단 몇줄만 적혀있고 ...
그때 했던 고민을 몇가지 적어보자면
1. 십이신살은 왜 겁살부터 시작할까.
2. 십이신살을 3단계로 나누었을 때 왜 위와 같은 지점이 단계에 변화점이 될까.
: 왜 3단계로 나눌까?
3. 위 3단계는 대운에서 어떻게 활용될 수 있을까.
-------------------------------- 띵똥 교촌치킨 왔심더.. ㅎㅎㅎㅎ
소 맥이 한잔 두잔 ... 갑자기 생뚱맞은 이야기를 해보자면
사부 : 지금은 한창 더운 여름이다. 몇달뒤에는 어떻게 되겠느뇨 !!!
바부 참이슬 : 사부님 장난하심 ... 당연히 가을 오죠.
사부 : 그럼 또 몇달뒤는 어찌되겠느뇨!!!
바부 참이슬 : 아~ 사부님 , 저도 이제 부짜 돌림인데 넘 하신 것 같은데용.
누굴 돼지... 아니 바부로 아심요. 겨울이잖아요.
사부 : 그럼 대운의 십이신살의 3단계 적용으로 인생의 변화의 꼭지점을 알겠느뇨!!!
바부 참이슬 : 잘~~ 모르겠는디요. 히히히
사부 : 그럼 바부탱이 참이슬아~ 대운의 십이신살은 무엇이뇨!!! 한단어로 말해보거라.
바부 참이슬 : 어~ 그~ 저~~~~~ 혹시 소맥!!! ( 회초리 각오하고..ㅠㅠ)
사부 : 아이공... 한명의 제자가 저모양이니..ㅠㅠ , (잠시 뜸 들인후)
酒氣 (주기) : 술을 마신 후의 취한 기운 헉 ~~~~!!!!!
週期 (주기) : 같은 현상이나 특징이 한 번 나타난 뒤 다시 되풀이되기까지의 기간
바부 참이슬 : 무신 이야기이신지 에공...
사부 : 다시 묻겠다. 지금은 여름이다 ~~ 몇개월 뒤에는 어찌 되느뇨!!!
그리고 일년뒤에는 십년뒤에는 ...
바부 참이슬 : ( 좀전과는 달리 쥐죽은 목소리로 ) 가~ 을요 ....
----------------------- 대한민국 축구 화이팅!!!
그럼 이제 각각의 변화의 꼭지점의 차이는 무엇일까라는 신랄한 비난이 나올 차례겠죠.
겁 재 천 지 년 월 망 장 반 역 육 화 ( 殺 )
▼
겁 재 천 지 : A 단계
년 월 망 장 : B 단계
반 역 육 화 : C 단계
3가지중 한가지 예로서 화개살대운에서 겁살대운으로 가는 지점
그럼 먼저 화개살대운이란 무엇인가!!!
앞에서 이야기했던 週期 (주기)의 완성
火마을에 *月에 태어나서 이리저리 인생의 항로를 거쳐 거쳐 드디어 하나의 주기를
완성하는 지점이 화개살대운입니다.
대운의 초부분에 올수도 있고 중반부에 올수도 있고 끝무렵에 올수도 있지요.
그러나 변하지 않는 것은 주기의 완성이라는 점입니다.
그러면 주기의 완성인 시점에서 다음 주기의 시작점인 겁살대운에는 命主에게는
어떻게 다가올까요.
삶의 진행과정에서 前주기와 새로이 바뀐 주기(겁살대운)사이에서
어떠 어떠한 사건이 일어난다는 관점이 아니라 삶의 전부분에 크나큰 혁명적인 상황이
연출되지는 않겠냐하는 추측이 십이신살이라는 무엇에 의해 관측할수 내용입니다.
나머지 두개의 분기점은 스스로 연구해보시기 바랍니다.
영화 인디아나죤스3인가 4인가 ( 4가 나왔나 가물가물)에서 나왔던 성배는
겉모양이 황금으로 치장한 잔이 아니라 볼품없는 나무잔이라는 것을 명심하시기 바랍니다.
-------------------------------옆 친구가 그만하고 물속의 춤 함께 보자고 하네욯ㅎㅎ
12.8.8
겁 재 천 지 년 월 망 장 반 역 육 화 ( 殺 )
初 (초) 中(중) 末(말)
앞에서 3단계로 구분해 봤는데 각 단계에 자신만의 이름을 붙여 보는 것도 좋습니다.
初 (초) 中(중) 末(말) 로 이름 붙일 수도 있고 또 음~ 上 中 下
아니면 시작- 실행- 결과 뭐 이렇게도 가능하겠죠. 이름이야 뭐든지 상관없습니다.
각 분기점에서 큰 변화의 양상을 갖는다는 것은 이미 살펴 보았고
각 구간의 특징은 스스로 한번 연구해 보시기 바랍니다.
위와 같은 " 밑그림 " 을 그린 후 십이신살의 각각의 의미를 생각해서 해석하는 것과
밑그림없이 바로 각각의 신살의 의미를 해석하는 것은 많은 차이가 있습니다.
잠시 쉬는 의미에서 숫자 3과 4로 우리가 관찰하거나 인지하는 대상자나 혹은 대상물을
구분짓는 연습을 해보시는 것도 명리공부하실때 도움이 많이 된다고 생각합니다.
명조를 해석하거나 통변할때 명리이론부분은 많이 공부하시는 데 대상자 혹은 대상물을
구분짓는 연습은 상대적으로 적은 듯 합니다.
구분짓는 연습하실 때 변화의 과정등을 숫자 3 혹은 4로 정리해보시면 되겠습니다.
그럼 다시 본론으로 들어가서
겁 재 천 지 년 월 망 장 반 역 육 화 ( 殺 )
初 (초) 中(중) 末(말)
위의 밑그림을 바탕으로
각각의 신살의 의미해석을 해보는 것이 대운의 십이신살 해석의 기초입니다.
------------------------------------------- 옆친구가 그만 하라고 하네요. 예 썰~
십이신살 중 장성살에 대해 살펴보자면
십이신살의 원문(?)이라고 할수 있는 박일우선생의 글에는
장성살에 대한 정의가 " 공공적 공익적 활동에 의한 개인의 자유 제한 " 이라고
요약되어 집니다.
왜 이렇게 요약되어지는 가에 대한 탐구는 독자의 몫이 겠죠.
참이슬은 삼합이론에서 그 이유를 유추해 보았습니다.
각자 나름대로 한번 각 십이신살의 정의를 유추해 보시기 바랍니다.
그럼 다시 처음으로 돌아가서
㉠ 겁 재 천 지 년 월 망 장 반 역 육 화 ( 殺 )
初 (초) 中(중) 末(말)
㉡ 장성살 : 공공적 공익적 활동에 의한 개인의 자유 제한
㉢ 명주의 삶의 과정 → 大運
㉡ 의 정의가 ㉢의 과정 단계에 따라 어떻게 활용 혹은 변용되는지를 생각해 보아야합니다.
대운의 초반부의 학창시기 : 외부적 환경 ( 부모의 울타리안의 시기 )에 의해
휴학 / 복학 / 자퇴 /전과 등의 교육의 끊김현상 발생
결혼과 출산 시기: 사회활동 ( 책임 의무 )으로 인한 결혼시기가 늦어지고
출산의 시기가 늦어지는 현상 발생
등등등.........
그런데 문제가 있습니다. 사람의 심리가 무엇인가 확정적이고 구체적인 것에 마음이
가는 것이 인지상정이라 그냥 ㉠ ㉡ ㉢의 과정을 거치지 않고 ㉢만 달달 외우버리고자
하는 마음이 생깁니다. 물론 저도 사람이라 그런 마음이 들었고 지금도 그렇지만....
예전에 참이슬이 곤명의 장성살에 대해 글을 적은 것이 있을 것인데
요약된 것이 1.남편을 몰아낸다 (광의적 해석 필요) 2.외유생활 3.몸이 아프다 (후반부)
運에서 위와 같은 현상이 발생하는 경우가 많은 데 저도 처음에는 달달이 했습니다.
근데 위와 같은 현상이 드러나는 원인과 상황이 뭘까 ... 고민을 많이 했습니다.
남편을 몰아내는 상황이 발생하는 이유가 뭘까? 그에 따른 주변부의 상황을 유추해보면
어떤 상황일까?
곤명이 장성살 대운 혹은 세운에 들면 남편의 경제권은 어찌 될까?
좀더 나아가면 ( 십이신살의 심화) 자대운 오대운 혹은 묘대운 유대운 의 장성살대운은
곤명에게 어떠한 영향을 줄까?
위의 영향이 " 1. 남편을 몰아낸다. " 라는 상황에서 사건화는 어떤 차이가 있으며
곤명의 심리상태 혹은 행복감/불행감은 어떤 차이가 있을까?
..... 너무 많이 진도가 나와버렸네요.
기초적인 원리와 정의 그리고 대상물 혹은 대상자의 단계 구분을 통해서
십이신살을 활용하면 좀 더 깊이 있는 탐구가 되지 않을까 생각해 봅니다.
------------------- 지금 중국과 남자 탁구 결승을 하는 데 예전의 현정화 김남규가
그리워 지고 있습니다.